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건강상식148

유방암 예방의 지름길은 조기진단과. 유방암의 진행과정. 다른 종류의 암과 마찬가지로 유방암의 예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에 진단해서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다. 조기암의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로 근치적 치료가 가능하고, 그 예후 또한 좋다. 요즈음 사회활동을 하는 기혼여성이 늘면서 아기에게 모유 대신 우유를 먹이는 경우가 많은데, 가능하면 바쁘더라도 아기에게 직접 수유를 시키는 것이 엄마의 유방암 발생도 줄이고 아이에게도 좋다. 또 한 가지 유방암을 예방하는 방법은 식생활의 개선이다. 유방암의 경우 지방이 많은 식품이 발암을 촉진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가능하면 지방질이 많이 음식을 삼가고, 녹황색 야채나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충분히 섭취함으로써 유방암을 예방할 수 있다. 유방암의 진행과정 • 0 기 • 유관 내암, 소엽 내암을 말한다. ·.. 2021. 8. 27.
유방암 치료.유방암의 일차적 치료는 변형 근치절제술.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유방암도 종양의 크기, 림프절의 전이 및 멀리 떨어진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에 따라 병기를 나누고, 그에 따라 치료법을 결정한다. 유방암의 치료는 수술이 주가 되고, 보조적으로 방사선요법, 화학요법, 호르몬 요법 등을 사용한다. 수술요법 조기암의 경우 외과적 수술로 100%에 가까운 완치율을 보인다. 외과적 수술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즉 유방을 중심으로 대흉근과 소흉근, 겨드랑이 아래의 림프절까지 몽땅 들어내는 근치 유방 절제술(Halsted 수술법)과 유방과 겨드랑이 밑의 림프절은 절제하되 흉근은 남기는 유방 변형 근치 절제술, 그리고 종양만 제거하고 유방은 살리는 유방보전 수술로 나누어진다. 0기 유방암으로 분류되는 유관 내암과 1기 유방.. 2021. 8. 27.
유방암이란? 여성암 중 유방암 발생빈도와 유방암의 가장 중요한 증상은 멍울 유방암은 지금까지는 미국 여성에게 많은 암이었다. 미국의 경우에는 아직도 유방암이 여성암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는 우리나라에도 유방암환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경제발전으로 인한 식생활의 서구화로 고지방 · 고당분의 섭취가 늘어난 것이 그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우리나라 여성암 가운데 유방암이 13.3%의 발생을 보여 자궁경부암(20.4%), 위암(15.7%) 다음으로 흔한 암으로 밝혀졌다. 이는 10여 년 전과 비교해 볼 때 2%나 증가한 수치다.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도 1995년 현재 10만 명당 4.0명으로, 1983년의 2.0명에 비해 2배가량이나 증가하였다. 원자력 병원에서는 세계적으로 극히 드물게 3년 1개월 된 환자의 유방암 수술을 한 사실이 있지만, 유방암은 20.. 2021. 8. 25.
암의 예방과 암의 관리. 암을 유발하는 위험요인 암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또 불가피하게 암이 발생하더라도 조기에 발견만 하면 완치할 수 있다. 즉 암의 약 30%는 예방할 수 있고, 30%는 조기에 발견하기만 하면 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암의 관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첫째 암의 발생 그 자체를 예방하는 1차 예방, 둘째 조기발견 · 조기진단을 중심으로 한 2차 예방, 셋째 치료 후의 재활과 재발방지를 중심으로 한 3차 예방에 주력하면 어떤 암이라도 충분히 물리칠 수 있다. 1차 예방은 생활환경을 개선하여 발암의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며, 2차 예방은 암의 위험신호나 경고 증상이 나타날 경우 지체 없이 병원을 찾고, 증상이 없는 건강한 상태라도 40세 이후에는 최소한 매년 1회씩 정기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다. 암을 유발하는 위험요인 잘못된 환경.. 2021. 8. 25.
728x90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