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따라가기

절기 ‘동지(冬至)’ 동짓날 먹는 동지팥죽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자.

by dramagods99 2020. 11. 20.
반응형

절기 ‘동지(冬至)’ 동짓날 먹는 동지팥죽의 유래에 대해 알아봅시다.

음력으로 11월경, 양력으로 12월 22~23일 경인 동지는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24절기 중 22번째 절기이며, 태양이 적도 이남. 23.5도 동지선, 즉 황경 270도 위치에 있는 날이기 때문인데요. 다른 절기를 초순, 중순, 하순으로 표현한다면 동지는 특별하게 애동지, 중동지, 노동지로 표현합니다. 태양력인 동지에 태음력을 잇대어 표현한 것인데요. 얼마나 동지를 중요시했는지를 알 수 있는 표현입니다. 동지는 다른 말로 수세, 원정 동지, 작은설, 아세, 이장, 지일, 호랑이 장가가는 날로 달리 부르기도 했습니다. 이중 호랑이 장가가는 날은 낮이 짧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하기 좋다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일 년 중 가장 밤이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자 24절기 중 22번째 절기, 동지입니다!
오늘은 든든이가 절기 동지와 동짓날에 떠오르는 음식! '팥죽'의 유래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절기 동지를 동지의 또 다른 이름 '아세'라고 부르기도 했는데요, 태양의 부활이라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 설 다음가는 '작은 설'로 대접해왔다고 해요. 오늘날에도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처럼 동지첨치(冬至添齒)의 풍속으로 전해지고 있죠. 또한, 열이 많은 동물이라 믿었던 호랑이가 동지에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 불렸다고 합니다.

동지팥죽의 유래
동지가 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팥죽’동짓날 왜 팥죽을 먹을까요?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옛날 공공씨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그가 동짓날에 죽어 전염병을 일으키는 귀신이 되었다고 합니다. 생전에 붉은 팥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동짓날 붉은 팥죽을 쑤어 그를 물리친다는 이야기가 적혀있습니다.

이렇듯 우리 조상들은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나 재앙이 있을 때는 팥죽, 팥밥, 팥떡을 해서 먹는 풍습이 있는데, 지금까지도 우리는 그 풍습을 이어오고 있죠. 고사를 지낼 때는 팥떡을 하는데요. 이렇게 팥이 들어간 음식은 소원을 이뤄준다고 믿었어요. 개업이나 이사 후에도 이웃들에게 시루떡을 돌리는 것도 이런 믿음에서 나온 풍습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