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따라가기

스톡홀름 증후군 또는 스톡홀름 신드룸

by dramagods99 2020. 10. 13.
반응형

스톡홀름 증후군 또는 스톡홀름 신드룸

1974년 2월4일 미국 신문재벌 허스트가 상속녀 패티 허스트(당시 20세)가 급진 좌파 도시게릴라 공생해방군에 납치됐다. 두 달 뒤 그는 납치범들의 은행 강도행각에 적극 가담했다. 전투복을 입고 기관총을 든 모습이 CCTV에 생생히 찍혀 미국 사회를 경악하게 했다.

이듬해 9월 체포되자 변호인들은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 탓이라고 항변했지만 징역 35년형을 선고받았다. 패티는 카터 대통령 때 가석방돼 실제론 22개월만 옥살이를 했다.


이 사건으로 스톡홀름 증후군이라는 말이 세계에 널리 알려졌다. 극한 상황에서 약자가 강자에 동조 또는 복종하는 심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1973년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에서 일어난 은행 인질강도 사건에서 유래했다. 엿새간 인질로 잡혔던 여성들이 경찰을 비난하고 범인을 옹호하는 증언까지 했다. 이런 이상심리를 스웨덴 범죄심리학자 닐스 베예로트가 스톡홀름 증후군으로 이름붙였다.


미국 연방수사국(FBI)에 따르면 인질사건의 피해자들 중 약 8%가 이런 증상을 보였다고 한다. 심리학자들은 그 원인을 생존본능에서 찾는다. 극한상황에 처한 피해자가 가해자의 사소한 친절조차 유일한 생존방법으로 인식해 의지한다는 것이다.

가정 폭력과 데이트 폭력 등도 스톡홀름 증후군과 무관치 않다. 벗어날 수 있는 상황이 와도 그러지 못하고 계속 당하는 ‘트라우마적 유대(trauma bond)’ 심리가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김기덕 감독의 영화 ‘나쁜 남자’에서도 평범한 여대생이 짐승 같은 남자에 의해 집창촌에 던져졌음에도, 그 남자에게 연민을 느낀다.

반대로 인질범이 인질에게 동화되는 경우도 있었다. 1996년 페루 리마에서 반군 14명이 일본대사관에 난입해 400여 명의 인질을 잡고 126일간 대치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반군은 인질들에게 고민을 털어놓기도 했고, 막판에는 모두 풀어준 뒤 전원 사살됐다. 여기서 ‘리마 증후군’이란 심리용어가 생겨났다.


728x90
반응형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