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따라가기

티스토리 블로그,블로그를 이용한 수익화

dramagods99 2022. 8. 8. 22:05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 이용해서 애드센스 승인을 받은 후 수익을 얻으려면 작성했던 글을 주제로 계속해서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도 있고, 블로그를 새로 개설해서 운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일단 내가 자신 있고 잘 아는 분야를 주제로 선정하는 것이 수익에 좋다.

티스토리-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수익을 위한 장기운영 방법.

티스토리 블로그, 블로그를 위한 수익화를 위해서 장기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남들과 다르고 차별화된 내용을 쓰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방문자가 글을 읽기 위해서 블로그에 들어갔는데 다른 블로그와 내용이 비슷하다면? 

방문자는 스크롤을 몇 번 내린 후에 바로 페이지를 이탈할 것이다. 이러한 포스팅들이 많아진다면 결국 방문자의 체류시간이 낮아지게 된다. 그 결과 블로그의 지수가 하락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다른 블로그의 글을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 넣는 행위는 지양해야 한다.

1. 티스토리 블로그 주제와 키워드 그리고 카테고리. 

주제를 정했다면 그 주제 안에서 다룰 키워드가 많은지도 봐야 한다. 주제를 정했지만 정작 그 안에서 다룰 내용이 많이 없다면 장기적으로 끌고 갈 만한 것이 아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이 생길 것이다. 꼭 하나의 주제로만 블로그를 운영해야 하는 것일까? 사실 블로그는 포털사이트에 지대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렇다 할 공식은 없다.

2. 전문적인 블로그로 인식.

많은 사람들이 많은 주제의 블로그를 개설하고 폐쇄하고 또 개설하고 수차례 반복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나타내는데. 하나의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그 성장 속도가 빠르다. 왜냐하면 하나의 주제로만 글을 작성하므로 네이버나 구글, 다음 등에서 전문적인 블로그로서 인식되기 때문이다. 블로그 최적화가 빠르고 애드센스 광고 최적화의 속도도 빠르다.

3. 다른 주제의 키워드 상단 노출의 어려움.

하지만 단점도 있다. 어느 정도 블로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글의 소재가 부족하여 전혀 다른 주제를 가져와 글을 작성한다면 해당 글은 상단 노출이 어렵다. 네이버에서도 다음 사진과 같이 블로그 도움말을 내놓았다. 

하나의 블로그에는 하나의 주제로만 써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갑자기 아무런 관련 없는 글을 쓰는 것은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나는 이런 좋지 않은 영향을 실제로 받아 봤다.

또 하나의 단점은 내 블로그의 지수가 나빠지면 블로그의 모든 포스팅에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전부 동일한 주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수가 좋아지면 모든 포스팅의 지수가 좋아진다.

4. 티스토리 블로그 카테고리의 중요성.

처음부터 다양한 주제로 카테고리를 나누어서 블로그를 키워 왔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성장 속도는 하나의 주제로 한 블로그보다는 느리지만 장기적으로 작성할 글의 소재가 다양하다. 그리고 하나의 주제가 죽어도 다른 주제가 똑같이 죽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안정적으로 블로그 운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여행 관련 주제가 안 좋은 영향을 받아도 육아 관련 주제가 똑같이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안정적이다. 다만 성장 속도가 많이 느리기는 하다.

5. 장기적인 글쓰기

주제를 정했다면 글을 주기적으로 쓰면 된다. 주기적으로 글을 작성하는 것도 글의 지수에 영향을 미칠까? 네이버는 사진과 같이 설명했다. 10개의 일상 글보다 전문성을 살린 1개의 글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애드센스 승인을 받기 위해서 구글이 좋아하는 전문성 강한 글 작성법을 알아봤는데, 이는 애드센스 승인만을 위한 작성법이 아니다. 참고로 구글도 전문성 강한 글을 좋아한다. 그래서 구글 검색 결과 첫 번째 페이지에 최근에 작성된 글이 아닌 예전에 작성된 글이 많은 것이다.

티스토리 블로그는 글의 서론이 가장 중요하다.

서론부터 매력적인 글로 콘텐츠에 집중시킨다면 방문자는 차근차근 글을 읽어 내려갈 것이다. 글을 읽어 내려가는 데 포스팅과 관련된 광고가 등장한다면? 방문자에게 필요한 광고가 나타난다면? 방문자가 광고를 클릭하게 될 확률은 증가한다. 그래서 서론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보통 핵심 정보를 맨 처음에 제공하면 핵심 정보만 가지고 페이지를 이탈할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오히려 핵심 정보를 처음에 얻은 방문자는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스크롤을 아래로 내린다. 그리고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글을 읽거나 광고를 클릭하게 된다.

그런데 포스팅할 키워드가 고갈되었다면?
처음에는 포스팅할 키워드가 많지만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점점 키워드가 고갈된다. 이럴 때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1. 괜찮은 티스토리 블로그 키워드 참고.

꽤 괜찮은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키워드를 가져온다. 무차별적으로 가져와 그대로 옮겨 적는 것이 아니라 해당 블로그에서 키워드만을 추출해 나만의 콘텐츠로 만드는 것이다. 자신만의 어투, 다른 블로그에는 없는 나만의 지식과 경험을 곁들여 주면 된다. 혹시나 다른 블로그의 사진을 그대로 캡처한 후 사용하면 저작권을 위반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벤치마킹을 할 블로그의 주소 뒤에 '/media'를 붙여서 주소창에 입력하면 해당 블로그의 모든 키워드가 나온다.

.tistory.com/media

하지만 가끔 키워드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는 해당 블로거가 자신의 키워드 노출을 막은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블로그는 모두 열려 있다. 만약 괜찮은 티스토리 블로그가 있다면 '즐겨찾기'에 추가해 보자.

2. 검색 포털에서 '연관검색어' 기능을 활용한다. 

만약 '자기 앞 수표 조회'를 키워드로 잡고 포스팅하려고 한다면 '연관검색어' 창에서 키워드를 골라주면 된다. 연관검색어의 연관검색어로 들어가고 이리저리 타고 또 타고 들어가다 보면 좋은 키워드를 찾을 수 있다. 네이버뿐만 아니라 구글 등 다양한 검색 포털을 참고하면 포스팅할 키워드를 쉽게 찾을 수 있다.

3. 일상 소재에서 키워드를 찾는다. 

예를 들어, 겨울이라면 집 안에 '뽁뽁이'를 붙이는 집이 많아지므로 '뽁뽁이'라는 소재로 포스팅을 하면 된다.'뽁뽁이 붙이는 법'을 키워드로 잡고 포스팅을 하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