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맥박 정상심장박동수 수치 및 최대심박수

by dramagods99 2020. 12. 10.
반응형

맥박 정상심장박동수 수치 및 최대심박수

심장기능

심장의 기능을 평가할 때 사용되는 수치들이 있다.
하나는 심실의 수축시 박출되는 혈액량을 뜻하는 '일회박출량(SV)'과 1분간 심장이 뛰는 수치를 뜻하는 '심박동수(HR)', 그리고 이 두가지 수치를 곱해 얻어지는 값인 심장박출량(CO= SV X HR) 이 있다.
성인기준 정상인의 심박동수는 70~75회 일회박출량은 약 70ml 가량이므로 심장박출량은 분당 약 5L 가량있다.(개인/상황에 따른 차이 큼)
하지만 심장박출량을 계산하는 것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무리가 있으므로 가장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심박동수' 이며, 이는 실제로 혈관순환 상태를 대략적으로나마 점검해볼 수 있는 활용도 높은 지표이다.

표준적인 안정시심박수 - RHR

보통 심박수는 연령, 성별, 질환유무, 활동, 심장의 기능, 자세 등에 따라 매우 큰 편차를 가질 수 있기에 분당 60-100회 범위를 정상으로 본다.

그러나 심박수가 완벽하게 심장기능의 상태를 대변하지는 못하므로 단순하게 특정시점의 심박수로 건강이상유무를 판단하기보다 지속적으로 수치의 변동을 추적 관찰하는 것이 데이터로서의 가치가 있다. (위험군이라면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을 통해 관리하는 것을 추천)

예를 들어 운동을 즐겨하는 사람의 경우 심장기능 자체가 뛰어나 휴식시에는 심장이 자주 뛰지 않아도 인체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할 수 있어 60이하가 나올 수 있고, 이는 긍정적인 결과라 평가할 수 있지만 평소 피곤하기만 하고 운동이랑도 담을 쌓았는데 심박수가 너무 낮다면 이는 부정맥의 신호일 수도 있으니까 말이다.

안정시심박수(정상심장박동수)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


대한심장학회에 관련자료가 있나 찾아보았으나 찾지 못했고 미국 기준자료를 가져 왔다.
체격이 상대적으로 작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심박수가 약간 더 높을 수 있겠으나 참고용으로 활용할수 없을만큼 큰 차이가 나지는 않을 것이다.

심박수는 활동유무 및 건강상태 뿐만 아니라 서있느냐 앉아 있느냐등의 작은 자세 차이로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매번 동일한 조건하에서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보통은 기상 후에 누워서 재는 것이 일상 중에서 가장 편차가 적은 값을 측정할 수 있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심폐능력이 뛰어날수록 안정시 심박수가 낮은 특징을 보이며, 유산소운동의 정점이라 볼 수 있는 마라톤 선수의 경우 40회 이하인 경우도 있다.

심박수는 무조건 낮아야 좋나요?

산소활용능력이 좋은 운동선수들의 심박수가 낮다는 것을 근거로 들어 운동을 하지 않는 일반인의 심박수 또한 낮은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간혹있는데 이는 앞에도 언급했듯 아주 잘못된 생각이다.

본인이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고 신체기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일상 전반에서 피로도가 높다면 낮은 심박수는 부정적인 신호일 가능성이 아주 크다.
심박수의 감소는 노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이다.

앞선 도표를 보면 고령이 되었을 때 안정시 심박수가 소폭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근육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경우라면 안정시심박수가 낮은것이 긍정적인 것은 사실이나 단순하게 심박수가 낮다고 해서 무조건 건강하다고 볼 수는 없다.

심박수가 높으면?

심박수가 느린 서맥은 심장기능이 좋아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너무 빠른 빈맥은 대부분이 일관적으로 건강에 문제가 있음을 뜻하는 적신호이다.

생활습관 개선을 바탕으로 이를 낮추도록 노력해야 하며, 정도에 따라 병원에 방문하여 정밀한 검사를 통해 질환유무를 확인해볼 필요성도 있다.

비만, 운동부족, 흡연, 음주, 불규칙한 생활패턴 등은 이러한 증상을 악화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이다.

안정시 심박수를 표준 수준까지 낮추는 것을 목표로 걷기나 계단오르기, 자전거와 같은 가벼운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운동과 심박수


심박수는 운동의 강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지만 최대강도에 도달하면 더이상 심장박동이 증가하지 않고 일정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를 '최대심박수'(HRmax)라고 하는데.
최대심박수는 운동검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겠지만 보통은 신생아의 평균 최대 심박수인 220회를 기준으로 나이 한살 당 1씩 빼서 대략적인 최대심박수를 설정한다.

"220 - 본인 나이 = 본인 최대심박수"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최대심박수를 바탕으로 적절한 유산소 운동강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보통은 60-80%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면 된다.

220 - 30살 = 190(최대심박수)
190 * 0.6(60% 강도 설정) = 114(목표심박수)

728x90
반응형

댓글


loading